새로운 세상을 향해 뛰자

[60대 연금 수령] 60대 필수! 국민연금 '연기연금'과 '조기연금', 나에게 유리한 선택은? 본문

일상 추천

[60대 연금 수령] 60대 필수! 국민연금 '연기연금'과 '조기연금', 나에게 유리한 선택은?

note7394 2025. 10. 18. 18:2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60대 남성 여러분의 든든한 경제적 동반자입니다.

퇴직 후 60대에 접어들면서 가장 현실적인 고민은 바로 '국민연금을 언제, 어떻게 받을까?' 일 것입니다.

국민연금은 평생 소득을 보장하는 핵심 자산이지만, '연기연금'과 '조기연금'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평생 받는 총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오늘은 60대 남성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가장 현명한 연금 수령 전략을 알려드릴게요.


1. 국민연금 수령, 왜 60대에 선택해야 할까요?

국민연금은 원칙적으로 만 60세~65세 사이에 수령 개시 연령(출생연도에 따라 다름)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나이를 기준으로 연금을 '앞당겨 받거나(조기연금)' 또는 늦춰서 받거나(연기연금)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선택이 곧 노후 생활의 질을 결정합니다.


2. 급할 때 선택하는 '조기연금'의 명과 암

조기연금은 최대 5년 일찍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장점: 정년퇴직 후 소득 공백기에 생활비를 확보할 수 있어, 당장 현금 흐름이 필요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 단점 (치명적): 수령 시기를 1년 앞당길 때마다 연금액이 매년 5%씩 감액됩니다. 5년을 앞당기면 최대 30%를 평생 덜 받게 됩니다.
  • 추천 대상: 건강 문제 등으로 예상 수명이 길지 않거나, 소득이 없어 당장 생활비가 절실하게 필요한 경우.
구분 수령 시점 연금액 감액률
1년 조기 59세 (만 60세 수령 개시 기준) -5% 감액
5년 조기 55세 (만 60세 수령 개시 기준) -30% 감액

3. 연금액 극대화 전략 '연기연금'의 힘

연기연금은 연금 수령 시기를 최대 5년 늦춰 연금액을 늘리는 제도입니다.

  • 장점 (최고의 재테크): 수령 시기를 1년 늦출 때마다 연금액이 매년 7.2%씩 가산됩니다. 5년을 늦추면 연금액이 최대 36%까지 늘어나며, 이 증액된 금액을 평생 받게 됩니다.
  • 단점: 연금을 받는 시점이 늦춰지므로, 그 기간 동안의 생활비는 본인의 다른 자산으로 충당해야 합니다.
  • 추천 대상: 만 65세 이후에도 계속 일할 계획이 있거나, 퇴직금/개인연금 등으로 충분한 소득이 있어 당장 국민연금이 필요 없는 경우.

4. 60대 남성, 나에게 유리한 선택은?

상황 추천 전략 이유
계속 일하는 경우 연기연금 수령 시기를 늦춰 평생 받는 연금액을 극대화 (연 7.2% 가산).
소득이 급감한 경우 원칙대로 수령 소득이 줄었다면 정해진 시점에 받는 것이 가장 합리적.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 조기연금 생애 총 수령액을 고려할 때, 일찍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

 

결정은 되돌릴 수 없습니다.

국민연금공단(1355)에 전화하여 자신의 예상 연금액을 정확히 확인한 후, 남은 100세 시대의 현금 흐름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